본문 바로가기

부품인증제 취급설명
Product Certificate Documents 바로가기

창유리의 역할

자동차의 창유리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유리가 장착돼 있다. 위치에 따라 안전기능에 적합하도록 전면 창유리와 측·후면 창유리로 구분할 수 있다.
차량 충돌 시 인명을 보호하도록 하는 창유리의 안전기능을 유지하려면, 돌이 튀어 균열이 발생되거나 충돌이나 접촉사고로 창유리를 교체해야 할 경우, 적합한 창유리로 안전기준에 맞도록 견고하게 장착 한다.

윈도우 글라스 교환 및 주의사항

  • 유리 씰런트 리무버(콜드 나이프)
  • 고정식 유리 탈거 공구 또는 이와 유사한 공구를 사용하여 윈도우를 탈거한다.
  • 차량제원에 맞는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한다.

경고

  • 창문이 균열되었으나 붙어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보호 테이프를 십자 모양으로 붙여 손상이나 부상의 위험을 줄인다.
  • 모서리가 노출되어 있거나 거친 각종 유리 또는 금속판으로 작업을 할 경우, 부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승인된 보안경과 장갑을 착용한다.
  • 깨진 유리가 디프로스터 아웃렛에 떨어지면 실내로 들어가는 공기에 섞여 부상을 입힐 수 있다.

주의

  • 고정 윈도우를 분리하여 빼기 전에 페인트 칠한 표면 및 내부 트림 주변에 두 겹의 마스킹 테이프를 붙인다.
  • 공구의 절삭면을 윈도우에 밀착시킨다.
  • 1후드를 연다.
  • 2배터리 음극 케이블을 분리한다. 배터리 음극(-) 케이블 분리 및 연결 참조
  • 3윈드실드 와이퍼 암을 탈거 한다. 윈드실드 와이퍼 암 교환 절차 참조
  • 4에어 인렛 그릴 패널을 탈거 한다. 에어 인렛 그릴 패널 교환 절차 참조
  • 5실내 리어뷰 미러를 탈거 한다. 리어뷰 미러 교환 절차 참조
  • 6프론트 뷰 카메라가 장착된 경우 탈거한다. 프론트뷰 카메라 교환 절차 참조
  • 7실내 공기 습도 및 윈드실드 온도 센서가 장착된 경우 탈거 한다. 실내 공기 습도 및 윈드실드 온도 센서 교환절차 참조
  • 8다음과 같은 부품을 덮어 깨진 유리로부터 보호한다.

    -상부 대시 패드

    -디프로스터 아웃렛 및 A/C 아웃렛

    -시트 및 카펫

  • 9카울 패널에서 하부 윈드실드 지지대를 분리한다(장착 시)
  • 1적절한 공구를 사용해서 레이스1 주변을 주의해서 자른다. 가운데에서 시작하여 창문의 측면을 따라 작업하면서 우레탄 접착제 비드로 접근한다.
  • 2이렇게 하면 우레탄 접착제가 윈드실드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핀치웰드 플랜지에 우레탄 베이스를 남긴다.

    -깨끗한 물만 윤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유리 씰런트 리무버(콜드 나이프), 고정식 유리 탈거 공구 또는 이와 유사한 공구를 사용하여 윈도우를 탈거한다.

  • 3보조 공구를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윈드실드2와 로케이팅 핀3을 탈거한다.

윈도우 글라스 장착 및 주의사항

경고

  • 모서리가 노출되어 있거나 거친 각종 유리 또는 금속판으로 작업을 할 경우,부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승인된 보안경과 장갑을 착용한다.
  • 프라이머를 칠하기 전에 부위에 대한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우레탄 접착제의 접착력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 우레탄 접착제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사고 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빠져나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 우레탄 접착제의 숙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사고 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빠져나가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습식 숙성 타입 우레탄 접착제의 경우, 30%의 상대 습도, 21°C (70°F)의 온도에서 최소 6시간 동안 숙성시켜야 한다. 최소 24시간이 지나야 우레탄 접착제가 완전히 숙성된다.

    ·화학식 숙성 우레탄 접착제의 경우, 최소 1시간이 지나야 한다.

  • 최소 숙성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수리 부위를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주의

  • 핀치웰드 플랜지가 부식된 경우 또는 판금 수리나 교환이 필요한 경우, 핀치웰드 플랜지를 재가공하여 접착 부위의 강도를 복원시켜야 한다. 페인트 작업이 필요한 경우, 컬러 코팅을 입히기 전에 플랜지 접착 부위를 가려서 초벌칠만 되어 있는 깨끗한 표면을 유지한다.
  • 블랙 프라이머를 핀치웰드 플랜지의 기존 우레탄 접착제 비드에 칠하지 않는다. 프라이머를 상처, 긁힘 또는 초벌칠이 된 표면에만 칠한다.
  • 윈도우에 글래스 프렙 클리어를 칠할 때는 주의를 기울인다. 이 프라이머는 즉시 건조되며, 고르게 바르지 않으면 윈도우의 시야를 흐릴 수 있다.
  • 글래스 프라이머 블랙은 유리에 칠한 후 최대 8시간 동안 효과를 유지한다. 프라이머를 칠한 유리 표면은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 새로 도포한 우레탄 접착제에 고압수를 직접 강하게 뿌리지 않도록 한다.
  • 1제원에 맞는 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한다.
  • 2핀치 용접 영역으로부터 우레탄 접착제 중 융기되었거나 느슨한 모든 부분을 제거한다.
  • 3원래의 윈도우를 재사용하는 경우 깨끗한 유틸리티 나이프나 칼날 스크레이퍼를 사용하여 핀치용접 플랜지에서 기존의 우레탄 접착제 비드 중 약 2 mm(3/64 in)만 남기고 모두 제거한다.
  • 4유리의 향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 문제들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

    -윈도우 플랜지의 열림

    -고압 용접

    -솔더 스폿

    -경화 씰러

    -기타 모든 차단물 또는 불순물이 핀치용접 플랜지에 존재함

  • 5지시한 바대로 개구부를 수리한 후에, 다음 단계를 실시한다.

    1.외부 카울 패널, 시트, 바닥 및 디프로스트 장치 덕트로 부터 파손된 유리의 모든 흔적을 제거한다.

    2. 이소프로필 알콜과 물을 50/50 비율로 섞은 용액을 먼지가 나지 않는 천에 적셔 윈도우의 내면 모서리 둘레를 청소한다.

  • 6프라이머와 우레탄 접착제의 유통기한이 만료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 7핀치웰드 프라이머를 최소 1분간 흔들어 준다.
  • 8새로운 도버를 사용하여 핀치웰드 플랜지1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칠한다.
  • 9약 10 분간 핀치웰드 프라이머가 마르도록 한다.
  • 10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윈도우를 마른 상태에서 개구부에 임시로 끼워 정확한 위치를 판단한다.
  • 11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여 개구부에 윈도우4의 위치3를 표시한다.
  • 12마스킹 테이프의 중앙을 자른 다음 개구부에서 윈도우를 탈거한다.
  • 13새로운 도버를 사용하여 글래스 프렙 클리어를 윈도우 안쪽 표면의 둘레 전체를 따라 약 10-16mm의 넓이로 도포한다.
  • 14먼지가 나지 않는 깨끗한 천으로 초벌칠을 한 유리를 즉시 닦아낸다.
  • 15다시 한 번 글래스 프렙 클리어를 유리의 동일한 부분에 칠한다.
  • 16글래스 프라이머 블랙을 최소 1분간 흔들어 준다.
  • 17새로운 도버를 사용하여 글래스 프렙 클리어가 칠해진 동일한 부위2에 글래스 프라이머 블랙을 칠한다.
  • 18약 10 분간 글래스 프라이머가 마르도록 한다.
  • 19폭 12.7mm, 높이 12.7mm로 우레탄 비드를 도포할 수 있도록 도포기 노즐을 자른다.
  • 20카트리지 타입의 코킹 건을 사용하여 우레탄 접착제 비드를 매끄럽게 연속해서 도포한다.
  • 21윈도우의 변부를 노즐의 가이드로 사용하여 우레탄 접착제1를 윈도우3의 내부 표면에 도포한다.
  • 22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상단 핀치용접 플랜지의 각 구석에 위치한 슬롯에 연결된 로케이터 핀에 윈드실드4를 장착한다.
  • 23윈도우7와 바디의 마스킹 테이프6라인을 정렬시킨다.
  • 24윈도우를 표면에서 1 mm아래에 단단히 고정한다.
  • 25테이프로 윈도우를 바디에 고정하여 우레탄 접착제가 숙성될 때까지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 26바디로부터 과도하게 도포된 우레탄 접착제를 모두 제거한다.
  • 27연한 온수 분무기를 이용하여 즉시 유리에 물을 뿌려 점검한다.
  • 28유리에 대해 누수 여부를 검사한다.
  • 29만일 누수가 있다면, 플라스틱 패들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에 여분의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다.
  • 30유리에 대해 누수 여부를 다시 검사한다.
  • 31우레탄 접착제가 적절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다음 조건을 유지한다.

    -우레탄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도어를 닫을 때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 윈도우를 부분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린다.

    -우레탄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까지는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다. 위의 경화 시간 참조

    -우레탄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압축 공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32프론트뷰 카메라가 있는 경우 장착한다. 프론트뷰 카메라 교환 참조
  • 33실내 공기 습도 및 윈드실드 온도센서가 있는 경우 장착한다. 실내 공기 습도 및 윈드실드 온도 센서 교환 참조
  • 34실내 리어뷰 미러를 장착한다. 실내 리어뷰 미러 교환 참조
  • 35에어 인렛 그릴 패널을 장착 한다. 에어 인렛 그릴 패널 교환 참조
  • 36윈드실드 와이퍼 암을 장착 한다. 윈드실드 와이퍼 암 교환 참조
  • 37배터리 음극 케이블을 연결한다. 배터리 음극(-) 케이블 분리 및 연결 참조
  • 38후드를 닫는다.
  • 39페인트를 칠한 표면의 주변부 가까이에 있는 이중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낸다.
  • 40윈도우 장착을 완료한다.

윈도우 글라스 교환 및 주의사항

작업방법

  • 선셰이드를 연다.
  • 선루프 윈도우를 환기 위치에 놓는다. 측면에서 선루프 윈도우 스크류 1을 탈거한다.
  • 선루프 윈도우 2를 차량에서 탈거한다.

선루프 조립, 해제방법 및 주의사항

선루프 윈도우 장착 방법

  • 1선루프 윈도우가 환기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측면 윈도우브라켓을 프레임 좌우의 가이드 구멍에 정렬한다.
  • 2좌우 측면 선루프 윈도우 스크류 1를 장착한다.
  • 3선루프를 닫는다.
  • 4윈도우와 루프 사이의 간격을 점검한다. 선루프 윈도우 높이 및 오프닝 피팅 조정 참조.
  • 5선루프가 제대로 작동하고 물이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프론트 사이드 창유리 조립, 해제방법 및 주의사항

프론트 사이드 도어 윈도우 교환

주의

  • 창문이 균열되었으나 붙어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보호 테이프를 십자 모양으로 붙여 손상이나 부상의 위험을 줄인다.
  • 모서리가 노출되어 있거나 거친 각종 유리 또는 금속판으로 작업을 할 경우, 부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승인된 보안경과 장갑을 착용한다.
  • 깨진 유리가 디프로스터 아웃렛에 떨어지면 실내로 들어가는 공기에 섞여 부상을 입힐 수 있다.
  • 1도어 내 대략 중간 지점에 윈도우를 위치시킨다.
  • 2프론트 사이드 도어 트림 1을 탈거한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 트림 교환 절차 참조
  • 3프론트 사이드 도어 워터 디플렉터 4를 탈거 한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 워터 디플렉터 교환 절차 참조
  • 4프론트 사이드 도어 윈도우 벨트 리빌 몰딩 5를 탈거 한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 윈도우 벨트 리빌 몰딩 교환 절차 참조
  • 5프론트 사이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새시 리테이너 6으로부터 프론트 사이드 도어 윈도우 7을 분리한다.

리어 사이드 창유리 조립, 해제방법 및 주의사항

  • 1도어 내 대략 중간 지점에 윈도우를 위치시킨다.
  • 2리어 사이드 도어 트림을 탈거한다 1리어 사이드 도어 트림 절차 참조
  • 3리어 사이드 도어 워터 디플렉터 4를 탈거한다. 리어 사이드 도어 워터 디플렉터 교환 절차 참조
  • 4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벨트 리빌 몰딩 6을 탈거한다.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벨트 리빌 몰딩 교환 절차 참조
  • 5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3을 탈거 한다.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교환 절차 참조
  • 6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채널 리어 리테이너 볼트 4 및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채널 5를 탈거 한다.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웨더스트립 교환 절차 참조
  • 7리어 사이드 도어로부터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를 탈거할 수 있을 정도로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6를 회전시킨다.

리어 사이드 도어 윈도우 장착 방법

  • 장착은 탈거의 역순으로 진행 하며, 도어 트림을 장착하기 전에 도어 윈도우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점검한다.